Java

[Java] 기본 자료형 char

suesoo 2023. 7. 7. 13:24
자바의 기본 자료형

자바의 기본 자료형은 정수형, 문자형, 실수형, 논리형 네 가지로 분류되어있다.

 

값의 분류 타입 메모리 크기
정수형 byte 1byte
short 2byte
int 4byte
long 8byte
문자형 char 2byte
실수형 float 4byte
double 8byte
논리형 boolean 1byte

- 1 byte = 8bit(0과 1이 저장되는 단위)

 

문자 타입 char

- 하나의 문자를 작은따옴표('') 감싸서 나타내는 것을 char이다.

- char는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되고, 유니코드는 세계의 문자를 0 ~65535 숫자로 매핑한 국제 표준 규약

 

 

 

※ 유니 코드

- 영어나 숫자 그리고 기본적인 기호(아스키코드) 뿐 아니라 각 나라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

- 언어와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코드 값을 제공하고 모든 문자를 16bit로 표현하므로 최대 65,536자까지 표현 가능

 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C%A0%EB%8B%88%EC%BD%94%EB%93%9C_0000~0FFF

 

유니코드 0000~0FFF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이 문서 안에는 일부 컴퓨터·브라우저에서 표시할 수 없는 문자가 있습니다. 그러므로 유니코드 글꼴이 있는 환경에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. 다음은 U+0000에

ko.wikipedia.org

- 유니코드 인코딩은 UTF-8 , UTF-16, UTF-32등 이 있다.

 

char의 출력예시

 char형의 표기방법은 아스키코드, 유니코드, 문자 3가지 방법

char c1 = 'a'; //문자
char c2 = 97; //아스키 코드 
char c3 = '\u0061'; 유니코드 

System.out.println(c1); //a
System.out.println(c2); //a
System.out.println(c3); //a

 

 

출처 https://wikidocs.net/261

아스키코드 응용예시
char c4 = 'C'-2;
System.out.Println(c4); //A

- 아스키코드를 활용하여 'C'는 103을 나타내며 -2를 하면 101을 나타내는 'A'가 출력된다.

 

→ char 타입을 공부하면서 컴퓨터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할수 있게 하는 아스키 코드,유니코드까지 같이 공부하게 되었고 변수에 문자를 저장하는 것 같았지만 실제 데이터는 모두 숫자로 저장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! 🧐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객체 타입 변환의 필요성  (0) 2023.07.24
[Java] 접근제한자  (0) 2023.07.14